월든 3를 방문하는 분들의 수에 비해 댓글, 트랙백, 방명록을 남기는 분의 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서 지금까지 주저했던 일을 드디어 시작합니다.
바로 댓글/트랙백/방명록 기부금 모으기입니다.
2006년 9월 1일부터 월든 3의 모든 포스팅에 달리는 댓글과 방명록 하나에 100원, 걸리는 트랙백 하나에 500원의 사비를 모아 좋은 일에 사용하려고 합니다. 2007년 6월 29일부터 댓글은 300원, 방명록은 500원, 트랙백은 1,000원으로 올립니다.
제가 다는 댓글은 제외합니다. 물론 댓글/트랙백/방명록이 폭주하여 제가 감당하기 어려운 때가 오게 되면 액수는 조정하게 됩니다.
예전부터 하고 싶었던 일인데 이제서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댓글과 트랙백, 방명록 많이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 2023년 12월 11일 1시 49분 현재 모금액
(2006년 9월 1일 00:00시 시작)
댓글 13364개 = 3,727,300원
방명록 324개 = 143,100원
트랙백 195개 = 184,000원
특별 기부금 = 107,604원
특별 기부금2 = 50,000원
특별 기부금3 = 10,000원
닫기
*
콩고 동부 난민 돕기 긴급구호 : 100,000원(2008년 11월 30일)
*
아이티 강진 긴급구호 : 100,000원(2010년 1월 20일)
*
칠레 강진 긴급구호 : 100,000원(2010년 3월 6일)
*
트위터 이웃 @ships71님 도움 : 100,000원(2010년 8월 9일)
*
홍대 청소 노동자 어르신들 지원 : 100,000원(2011년 2월 3일)
*
쥐벽서 프로젝트 지원 : 100,000원(2011년 5월 28일)
*
민중의 집 토끼똥 공부방 선물 : 124,000원(2011년 9월 8일)
*
한국 내셔널트러스트의 매화마름 보전을 위한 호랑이 막걸리 구입 : 90,000원(2012년 1월 31일)
*
제주 강정 구럼비 바위 지킴이들 김치 지원 : 311,680원(2012년 3월 13일)
*
진주시 유기동물보호소 정기봉사팀 지원 : 100,000원(2012년 6월 4일)
*
김규항 선생의 '아이를 살리는 7가지 약속' 후원 : 100,000원(2012년 7월 28일)
*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 기근 지원 긴급구호 : 100,000원(2012년 10월 12일)
*
포천 애린원 지원 : 200,000원(2013년 3월 10일)
*
시리아 분쟁난민 긴급구호 : 100,000원(2013년 10월 28일)
*
필리핀 태풍 긴급구호 : 100,000원(2013년 11월 12일)
*
불행한 사고를 당한 직장 동료 지원 : 200,000원(2014년 2월 25일)
*
'고래가그랬어'가 펴낸 단행본 '하위권의 고수' 함께 보기 후원 : 13,500원(2014년 8월 9일)
*
세월호 학살 유가족을 위해 봉사하다 쓰러지신 문명수 목사님 후원 : 100,000원(2014년 8월 21일)
*
ALS 아이스 버킷 챌린지 승일희망재단 후원 : 100,000원(2014년 8월 22일)
*
트위터 이웃 @Magos_Flores님 지원 : 100,000원(2014년 11월 15일)
*
강정평화상단협동조합의 감귤 구매로 강정 지킴이 지원 : 50,000원(2014년 12월 11일)
*
네팔 강진 피해 긴급구호 : 100,000원(2015년 4월 27일)
*
암 투병 중인 직장 동료 지원 : 50,000원(2015년 6월 25일)
*
나이지리아 영양실조 긴급구호 : 200,000원(2016년 8월 15일)
*
전봉준 투쟁단 지원 : 100,000원(2016년 11월 26일)
*
남수단 영양실조 긴급구호 : 100,000원(2017년 8월 5일)
*
AVAZZ 야생동물 수호대 지원 : 111,569원(2018년 6월 17일)
*
정마온니네 후원(삼순이) : 100,000원(2019년 6월 22일)
*
정마온니네 후원(렉스) : 100,000원(2020년 1월 13일)
*
정마온니네 후원(토끼) : 100,000원(2020년 5월 4일)
*
강정평화상단의 감귤 구매로 강정 지킴이 후원 : 125,000원(2020년 11월 10일)
*
정마온니네 후원(고양이 사랑방) : 100,000원(2021년 5월 3일)
*
사육곰해방프로젝트 후원 : 100,000원(2021년 10월 29일)
*
모찌군 6주기 정마온니네 후원(고순이) : 200,000원(2022년 5월 16일)
현재 잔액 = 504,785원
모금액은 수시로 업데이트됩니다.
덧. 저는 한 사람의 백 걸음보다 백 사람의 한 걸음이 이 기부금 제도의 취지에 더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2007년 10월 2일부터 하나의 댓글을 여러 개로 분리해서 달기, 하나의 포스팅에 달리는 중복 댓글, 도배성 댓글에는 기부금을 적립하지 않습니다. (댓글 기부금 300원이 기부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라는 언급이 없는 댓글은 기부금이 적립되지 않은 것으로 아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620
.
2006/09/24 11:26
.
월덴지기님의 기부금 모으기
아이고. 이미 많은 블로거가 하고 계셨다는데 저는 이제야 알게 되었답니다 :p
정말 멋진 아이디어 아닌가요? 왜 그렇다고 하잖아요. 선행이 좋은 줄은 ..
.
2007/11/07 18:27
.
인터넷으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인터넷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할 수 있는건 거의 다 할 수 있다. 대략, 임의의 물건을 구입한다거나, 금융 거래를 한다거나, 행정 업무를 본다거나, 정보를 ..
.
2007/12/24 15:04
.
<!-- 나의 추천 글 --> 전철로 일찍 나서는 이른 미명 길 전철역에서 몸을 바짝 웅크리고 밤을 지샌 듯, 한 데 잠일지라도 함께 있어 한 가족으로 보이는 사람들을 지나치며 보았습니다. 분명 ..
.
2009/05/21 23:18
.
지난 한 주는 "고난 주간"이었습니다. 십자가 형틀에 매달려 돌아가신 "예수그리스도의 수난(The Passion)"을 되새겨보고자,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했던 히에로니무스 보쉬(Hieronymus Bosch, 네덜란드,..
.
2009/05/21 23:19
.
블로그(blog)를 꾸리다 보면, 여러가지 즐거운 경험을 하게 됩니다. 가족처럼 걱정해주는 좋은 이웃을 만나기도 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경험이나 정보를 더 깊이있게 탐구할 수 있기도 하며, 또..
제가 댓글/트랙백/방명록 기부금 모으기를 시작한 것이 2006년 9월 1일이니 올해 9월이 되면 만 12년이 됩니다.
그동안 이렇게 모은 셀프 후원금으로 2008년 11월부터 지금까지 26번에 걸쳐 다양한 후원과 기부를 해 왔는데 6월 27일 오후 1시 38분에 달린 댓글로 일만 개의 댓글이 되었습니다.
* 2018년 6월 28일 13시 38분 현재 모금액
(2006년 9월 1일 00:00시 시작)
댓글 10000개 = 2,869,700원
방명록 288개 = 128,100원
트랙백 195개 = 184,000원
특별 기부금 = 107,604원
특별 기부금2 = 50,000원
특별 기부금3 = 10,000원
별 건 아니지만 나름 기념할 만한 일이라고 생각해 댓글 10,000개 돌파를 자축하는 후원금 10만 원을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2006년 9월 1일에 시작해 4,318일 만에 10,000개의 댓글이 달렸네요. 앞으로 얼마나 많은 댓글이 달릴지 모르겠으나 댓글 수에 연연하지 않고(댓글 내용에는 신경쓰면서) 좀 더 유익하고 즐거운 블로그가 되도록 운영하겠습니다.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4699
RSS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블로그나 사이트 등에서 사용하는 컨텐츠 표현 방식의 하나입니다. 저 같은 블로그 관리자가 포스팅을 하게 되면 RSS 형식으로 발행된 내용은 RSS 리더기 같은 프로그램(또는 서비스)을 통해 손쉽게 수집할 수 있고 편리하게 읽거나 관리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월덴3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RSS를 부분 공개만 해 왔는데 이 때문에 RSS 리더기를 사용하는 분들도 전문을 다 읽으시려면 월덴3를 굳이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더 이상 그렇게 불편함을 드릴 필요가 없기에
2016년 3월 23일을 기점으로 RSS 전문 공개로 전환합니다. 이제부터는 RSS 리더기나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굳이 월덴3 사이트를 방문하실 필요 없이 포스팅된 글을 편하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가끔은 오셔서 댓글이나 트랙백으로 근황이라도 남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4127
얼마전부터 월덴 3에서 북 크로싱을 하던 분들이나 제 지인들이 포스트에 댓글을 달려고 하면 차단되어 댓글을 달 수 없다는 경고 메시지를 받고 계십니다. 모든 분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고 무작위로 발생하고 있죠.
월덴 3에 정상적으로 접속은 되는 걸 보면 뭔가 다른 문제가 있는 것 같아서 호스팅 업체에 문의했는데 차단 대역이 없다고 해서 다른 이유를 찾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원인 분석을 하는데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네요.
월덴 3에 있는 포스트들에 댓글 달기가 안 되는 분들은 walden3@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주시면 문제가 해결되는대로 공지와 별도로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이후 정상적으로 댓글이 달리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사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최대한 빨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겠습니다.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태터툴즈의 스팸 댓글 및 트랙백 차단 플러그 인을 꺼두었더니 정상 작동하고 있습니다. 스팸 댓글이나 트랙백이 감당 못할 정도로 늘어나지 않는 이상 지금의 시스템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여전히 댓글 쓰기가 차단 상태인 분들은 연락 부탁드립니다.
월덴지기 드림.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3278
월덴 3를 오래 드나든 분이라면 대충 아시겠지만 저는 악플러를 사람 취급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어떤 인생을 살았든 어떤 어려움이 있든 간에 별로 관심 없고 그들에게는 제 직업 정신이 작동하지 않습니다(물론 치료를 받았으면 하는 마음은 있습니다만).
그래서 월덴 3의 공지글에 특별히 언급한 류의 악플을 달았던 악플러들은 어김없이 댓글 실시간 삭제 및 IP 차단을 했습니다(사실 댓글 지우는 시간도 아깝다는).
저는 악플러를 사람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괜히 먹이를 줘서 월덴 3를 그들의 서식처로 만들 생각이 전혀 없고 월덴 3를 스쳐 지나갔다는 생각만으로도 짜증이 밀려옵니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집 주인에 대한 배려와 매너 따윈 아예 탑재할 생각 없는 악플러들은 항상 그렇듯이 사람 취급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제 기준으로 악플러는 사람이 아니니 법의 도움을 받을 생각도 없으니까요. 법의 도움은 사람을 위해 있는 것이지 괴물을 위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쨌거나 이외수옹의 결단을 쌍수를 들어 지지하고 절대로 중간에 소를 취하하지 말고 꼭 콩밥을 먹이기를 바랍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콩밥 먹이는 것도 아깝기 때문에 그냥 노역형을 살게 하는 것이 더 사람되는데 도움이 될 것 같기는 합니다만....
미친개에게는 몽둥이가 약이죠. 손 내밀면 물리는 법입니다.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1905
지금은 비록 월덴지기의 신변잡기를 무차별 포스팅하는 곳으로 변질이 되었습니다만 월덴 3는 원래 심리학 관련 블로그를 표방하고 문을 열었습니다.
열심히 포스팅을 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홍보를 열심히 하는 것도 아니어서 항상 방문하는 분들이 정해져 있고 꽤 한산한 곳이었지요.
그러던 중 며칠 사이에 이오공감에 2번이나 오르면서 갑자기 많은 분이 방문해서 좋은 말씀을 많이 해 주셨습니다.
설레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하고 어쨌거나 행복한 시간이었지요.
저는 월덴 3에 달리는 댓글과 트랙백에는 최대한 하나하나 다시 답글을 다는 편입니다. 그냥 댓글을 달고 다시 찾지 않는 분도 계시겠지만 달리는 댓글 하나하나가 저에게는 소중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happyalo님의 블로그처럼 답글을 모두 달아주시는 곳을 다시 방문해서 그 답글을 읽는 재미도 쏠쏠하기 때문에 저도 happyalo님의 흉내를 내서 열심히 다는 이유도 있습니다.
사실 제가 월덴 3를 열었을 때에는 제 개인 블로그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그냥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서로 의견과 정보를 나누었으면 했기 때문에 답글은 될 수 있으면 달지 않으려고 했는데 지금에 와서는 어떤 것이 더 좋은지 헷갈리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모든 댓글과 트랙백에 답글을 다는 것의 어려움도 체감했고 말이죠.
사람마다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소통하는 방법이 다를 겁니다. 지금도 고민중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렇게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 더 즐겁습니다. 하지만 또 모르죠. 언제 갑자기 침묵하게 될는지도.
- 온라인 문법/맞춤법 점검 -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