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
심리학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

  • [공지] 외부 강의 관련(필독!!)
  • 외부 group supervision 기준
  • 보이콧 출판사 리스트
  • 저작권 관련 공지
 
전체 (5555)
Academy (1561)
심리평가 (330)
상담/심리치료 (246)
서적 (344)
임상심리 (67)
심리학 일반 (133)
도박중독 (372)
학회 (61)
방법론 (7)
Academy 자료실 (261)
발표자료 (37)
논문 (9)
DSM-5 (14)
척도 (9)
프로그램 (8)
공지 (267)
수퍼비전 의뢰 (3)
미니 강의 (135)
그룹 수퍼비전 (61)
오픈 수퍼비전 (66)
이런저런 이야기 (445)
여행 (397)
19년 12월 버마(미.. (11)
18년 8월 스위스(미.. (0)
17년 12월 몰디브(.. (18)
17년 8월 페루(미완.. (33)
16년 12월 대만(완결) (31)
16년 10월 시드니(.. (13)
16년 8월 몽골(미완.. (8)
15년 12월 길리 메.. (17)
15년 7월 노르웨이(.. (10)
15년 5월 여수(완결) (8)
14년 8월 크로아티.. (9)
14년 6월 싱가포르(.. (5)
13년 8월 케냐(미완.. (14)
12년 12월 라오스(.. (34)
11년 10월 스페인(.. (12)
11년 5월 베이징(미.. (0)
10년 12월 쿠바(미.. (8)
10년 1월 방콕(미완.. (5)
09년 11월 네팔(미.. (0)
09년 1월 코타키나.. (8)
08년 9월 체코(완결) (39)
08년 2월 상하이(미.. (7)
07년 10월 제주도(.. (6)
07년 6월 그리스(완.. (16)
07년 2월 유후인(완.. (11)
06년 7월 터키(완결) (26)
06년 5월 홍콩(완결) (12)
05년 7월 앙코르와.. (12)
문화생활 (1094)
서적 (635)
영화/애니메이션 (398)
전시회/공연 (24)
아이폰 & 아이패드 (26)
음반 (10)
취미생활 (210)
차 (36)
술 (30)
커피 (59)
스윙댄스 (31)
사진 (33)
DIY (1)
인라인 (2)
드럼 (4)
권투 (1)
운동 (7)
아로마테라피 (6)
Home Sweet Home (47)
디지털과 아날로그 (143)
Beauty & 생활건강 (49)
비건생활 (65)
반려동물 (49)
식도락 (74)
재테크 (86)
인터넷 (77)
크로싱 (641)
북 크로싱 (633)
음반 크로싱 (8)
나눔 (88)
Q&A (1)
 
<<   2023/12   >>
S M T W T F 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부부의 심리학 장하준의 경제 정책 매뉴얼 김병조 안티 스파이웨어 올린 내용증명 severity 베타파 Axis 천주의 성 요한 알코올 치료센터 입사 취소 의학 관광청 마음의 힘 마티 폐암 항공기 Mooto 목표 설정 Kindle
 
  • 월든3를 처음 방문하는 분들을.. (162)
  • 댓글/트랙백/방명록 기부금 모.. (156)
  • 월든3 아카데미의 일정표 : 수.. (104)
  • [공지] 12월 25일부터 1월 2일..
  • [공지] 심리평가로 '궁합' 보.. (2)
  • [공지] '익명' 심리평가 서비.. (34)
  • 심리평가 오픈 supervision을 .. (20)
  • 제 125회 미니 강의를 엽니다 ..
  • 제 124회 미니 강의를 엽니다 ..
  • 제 65회 심리평가 오픈 superv.. (2)
  • 제 123회 미니 강의를 엽니다 ..
  • [애니] 엘리멘탈(Elemental, 2..
  • 엘 카페 : Guatemala 'Mendez ..
  • 토목 설계 계약을 했습니다
  • TCI LML 성격 유형의 이해 : .. (2)
 
  • 선생님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09:35 - nh10
  • 안그래도 문장완성 검사해석책..
    01:31 - 신종숙
  • 도움이 되었다면 다행입니다. ..
    00:57 - 월든지기
  • 연대감 중에서 타인수용이 낮..
    00:42 - 신종숙
  • 단순히 F=80T 이상을 정신병적..
    00:30 - 월든지기
  • 100T는 F(P)입니다
    12/01 - 바두기
  • 제가 많이 부족합니다.. 한국..
    12/01 - 바두기
  • MMPI-2에서 상승한 척도가 별..
    12/01 - 월든지기
  • 차이 없습니다. 부정 왜곡이 ..
    12/01 - 월든지기
  • 1. 소척도 양상을 살펴봐야겠..
    12/01 - 월든지기
 
  • ‘Rorschach, 실시에서 해석까..
    2015 - 마음이 배인 시간
  • 저는 마음의 병이 깊은데 상담..
    2015 - 라미의 따뜻한 심리학
  • 로샤 미니 워크샵 안내
    2014 - 마음이 배인 시간
  • 엣지 오브 투모로우(Edge of T..
    2014 - 마인드와칭
  • [척도]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2013 - 인생의 힘
 
 
  • 2024/12 (3)
  • 2024/01 (1)
  • 2023/12 (6)
  • 2023/11 (18)
  • 2023/10 (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 2.0 South Korea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총 방문자 수 : 4407244


  • 블로그
  • 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관리자
혼마 이타루 - 해당되는 글 2건
  • 2023/11/05   [서적] 작은 집 짓기 해부도감(2017)
  • 2023/08/22   [서적] 최고의 평면 : 삶을 결정하는 공간 배치법(2010)
[서적] 작은 집 짓기 해부도감(2017)
★★☆☆☆

이미지 출처 : YES24

일본 건축분야 최장기 베스트셀러인 '해부도감' 시리즈 중 tiny house를 다룬 편입니다. '해부도감' 시리즈는 월든3에서도 이미 몇 차례 소개를 했었죠.

* '집짓기 해부도감(2014)'
* '주거해부도감(2009)'

이 책은 작은 집에서 살기 편한 구조를 잘 설계하는 걸로 유명세를 탄 '혼마 이타루'가 썼습니다. 혼마 이타루는 올 여름에 소개한 '최고의 평면 : 삶을 결정하는 공간 배치법(2010)'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이 책에서는는 66.1~99.2 제곱미터 크기의 집 41채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집이 넓다고 삶이 쾌적한 것이 아니고 집이 좁다고 살기 불편한 것이 아니라며 잘 설계하면 작은 집에서도 얼마든지 삶의 편의성을 충분히 누리며 살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작은 집을 구조설계할 때 고려할 10대 원칙만 잘 지키면 된다고 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은 집의 기본 구조는 직사각형
2. 부지의 개성을 구조의 개성으로 탈바꿈
3. 작은 집에서는 계단 위치야말로 핵심
4. 공간을 연결해 널찍하게 만든다
5. 생활에 알맞은 크기를 결정한다
6. 수납공간을 적재적소에 마련한다
7. 빛은 끌어들이고 바람은 통과시킨다
8. 세로 방향의 뚫린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9. 위로 늘리거나 아래로 늘린다
10. 생활 동선을 최대한 원활하게 만든다.

물론 흔히 깃대 모양 부지로 알려진 이상한 모양의 좁은 면적에 집을 짓는 경우가 많은 일본의 사정을 고려하여 적당히 가감하며 읽어야 합니다.

저도 처음에 집을 지을 땅을 구매할 때부터 집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 지금 전세살이 하고 있는 집으로 오면서 저 같은 맥시멀리스트에게 25평은 확실히 좁아서 힘들고 34평이면 충분하겠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물론 나이가 들면 관리하기 힘드니 전원주택은 작게 지을수록 좋다고 하는 분들도 많지만 그래도 30평은 되어야 할 것 같더라고요.

이미 집 크기를 결정하고 난 뒤에 읽은 책이라 저는 그렇게 인상 깊게 와 닿는 책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저보다 tiny house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태그 - Tiny House, 작은 집 짓기 해부도감, 해부도감, 혼마 이타루
Home Sweet Home  |  2023/11/05 23:08
Trackbacks  | Comments  : View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5679
이름 ::   비밀번호 :: 홈페이지 :: 비밀글
등록
[서적] 최고의 평면 : 삶을 결정하는 공간 배치법(2010)
★★★☆☆

이미지 출처 : YES24

'인테리어, 수납, 가구, 조명 등은 전부 바꿀 수 있지만 평면은 한번 정하면 바꿀 수 없다. 평면이 집의 시작이자 끝이다'라는 모토로 30년 동안 150채 이상의 주택을 설계하였고 살기 편한 구조를 잘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한 일본 건축가 혼마 이타루가 쓴 책입니다.

나중에 소개할 '작은 집 짓기 해부도감'의 저자이기도 하죠.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장. 좋은 평면을 결정하는 조건
* 출입구와 현관 : 사람을 맞이하는 공간
* 부엌 : 동선의 교차로
* 가사 코너 : 부엌 옆에 딸린 작은 작업실
* 계단 : 모든 플래닝의 중심
* 복도 : 존재감을 부여하라
* 화장실/욕실/세면실 : 편안하게 머무는 공간
* 화장실 : 생활 습관과 동선까지 확인하자
* 아이방 : 가족의 기척을 느낄 수 있도록
* 침실 : 수납까지 고려하자
* 지하실 : 빛과 바람이 통하는 공간으로
* 테라스와 발코니 : 또 하나의 거실
* LDK : 생활을 공유하는 장소
* 작업실 : 자기만의 업무/취미 공간

2장. 빛, 바람, 시선이 통하는 평면
* 바람의 흐름
* 빛의 흐름
* 뚫린 공간을 만들다
* 자리를 나누다
* 보이드의 효과

3장. 생활이 즐거워지는 최고의 평면 35

집을 짓기로 결심하고 기본적인 구조를 생각할 때 고려할 점을 영역 별로 살펴볼 수 있는 책입니다. 아무래도 일본 건축가의 책이기 때문에 일본인의 생활 습관에 맞춰 설계할 수 밖에 없었을테고 따라서 적절히 가감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방 공간의 구석에 작은 자리(가사 코너라고 부르는)를 만들어 서재처럼 이용하는 경우는 우리나라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공간 활용이니까요.

그래도 실제 건축된 집의 평면을 직접 보여주면서 설명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 책에서는 침실과 욕실의 순환 구조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태그 - 작은 집 짓기 해부도감, 최고의 평면, 혼마 이타루
Home Sweet Home  |  2023/08/22 17:16
Trackbacks  | Comments  : View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walden3.kr/trackback/5623
이름 ::   비밀번호 :: 홈페이지 :: 비밀글
등록
이전 목록   1   다음 목록